스프링의 Resource 객체는 java.net.URL을 추상화한 인터페이스입니다. Resource 객체는 스프링 내부에서 가장 많이 사용이 되는 인터페이스이며 스프링 IoC 컨테이너가 생성 될때, 컨테이너 설정 정보를 담는 파일들을 가져올때도 사용합니다.
Resource 인터페이스를 통해 추상화한 이유 java.net.URL의 한계로 클래스 패스를 기준으로 리소스를 읽어오는 기능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주요 메소드
exists
isOpen
isFile
isDirectory
getFile(항상 파일로 가져올수 있는 것은 아님)
구현체
UrlResource : URL을 기준으로 리소스를 읽어들이며 기본으로 제공하는 프로토콜에는 http, https, ftp, file, jar
ClassPathResource : 클래스패스를 기준으로 리소스를 읽어들이며 접두어로 classapth:를 사용
FileSystemResource : 파일 시스템을 기준으로 읽어들임
ServletContextResource : 웹 어플리케이션 루트에서 상대경로로 리소스를 읽어들임
ResourceLoader
ResourceLoader는 리소스를 읽어오는 기능을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입니다. ApplicationContext도 ResourceLoader를 상속하고 있습니다. 기능은 말그대로 리소스를 읽어오는 기능만 제공하고 있습니다.
구현체
DefaultResourceLoader : UrlResource(경로가 http, https 등 프로토콜로 시작)와 ClassPathResource(경로가 classapth:로 시작)를 가져올때 사용
FileSystemResourceLoader : DefaultResourceLoader를 상속하고 있으며 경로가 /로 시작하는 경우 FileSystemResource를 반환.
GenericWebApplicationContext : DefaultResourceLoader를 상속하고 있으며 경로가 /로 시작하는 경우 ServletContextResource를 반환
DefaultResourceLoader를 직접 상속 하고 있지는 않음
리소스를 가져오는 코드는 아래와 같습니다.
1
resourceLoader.getResource("location 문자열");
Resource의 타입과 ApplicationContext 타입의 관계
Resource의 타입은 location 문자열과 ApplicationContext의 타입에 따라 결정됩니다. 위의 ResourceLoader 구현체를 통해서 Resource를 얻어오는게 아니라 bean으로 등록 된 ApplicationContext를 통해서 Resource를 가져올때는 아래와 같이 적용됩니다.
class org.springframework.context.support.GenericApplicationContext class org.springframework.core.io.DefaultResourceLoader$ClassPathContextResource class org.springframework.core.io.ClassPathResource
스프링 메시지소는 국제화(i18n)을 제공하는 인터페이스입니다. 메시지 설정 파일을 통해서 각 국가에 해당하는 언어로 메세지를 제공할수 있습니다. ApplicationContext는 MessageSource를 구현하고 있습니다.
메시지 설정 파일
메시지 설정 파일은 프로퍼티파일을 사용하며 파일 이름에 [파일이름][언어][국가].properties 형식으로 파일을 추가해주면 됩니다. 아래와 같이 2개의 파일을 생성하게 되면 인텔리제이에서는 Bundle로 묶이는 것을 확인 할수 있습니다.
1 2
messages.properties : 기본 메시지 messages_ko_KR.properties: 한국 메시지
파일이름이 messages로 시작하지 않아도 된다. 위의 형식만 맞춰주면 된다. 스프링 부트를 쓸 경우에는 messages로 시작하면 자동으로 등록 해준다.
메시지 가져오기
위와 같은 형식으로 파일을 생성한 후에 프로퍼티 작성 방식인 key=value 형식으로 값을 입력합니다.
1 2
//messages.properties greeting=Hello, so good {0}
1 2
//messages_ko_KR.properties greeting=안녕하세요 {0}
ReloadableResourceBundleMessageSource를 Bean으로 등록 해 줍니다. 여기에서 basename은 경로를 포함한 파일이름까지 적어주면 됩니다. 예를 들어 클래스패스에서 common/message-common_ko_KR.properties로 구성할 예정이라면 messageSource.setBasename("classpath:common/message-common") 이렇게 입력해주면 됩니다.
@Bean public MessageSource messageSource(){ ReloadableResourceBundleMessageSource messageSource = new ReloadableResourceBundleMessageSource(); messageSource.setBasename("classpath:messages"); messageSource.setDefaultEncoding("UTF-8"); return messageSource; } }
위처럼 설정이 완료가 되면 메시지를 가져올 준비가 되었습니다. messageSource.getMessage(“이름”, new String[]{“파라미터1”, “파라미터2..”}, Locale) 순으로 작성해주면 됩니다. 두번째 파라미터인 배열을 넘기면 프로퍼티에서 작성했었던 {0}에 값이 설정이 됩니다.
ApplicationContext는 EnvironmentCapable 인터페이스를 구현하고 있습니다. 이 인터페이스는 getEnvironment 메소드를 제공하며 호출시 Environment를 반환해 줍니다. Environment 클래스는 프로파일 및 프로퍼티 값과 관련이 있습니다.
프로파일
개발을 하다보면 로컬, 개발, 운영등 각 환경마다 설정을 달리 해주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합니다. 이때 각 환경마다 활성화할 Bean을 관리해주는 역할을 하는게 프로파일입니다.
프로파일을 설정하면 앱 구동시에 설정된 프로파일 active 값에 따라서 해당 bean을 등록 할지 여부를 결정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 A라는 Bean은 테스트시에만 쓰고 싶다면, 해당 Bean을 테스트 프로파일로 구성하면 테스트시에만 활성화 되게 됩니다.
설정 방법
설정 파일에 클래스에 정의를 하면 해당 설정 파일에서 정의한 모든 Bean을 한번에 정의할수 있습니다.
1 2 3 4 5 6
@Configuration @ComponentScan @Profile("test") public class BeanConfig { }
ApplicationContext 클래스도 Bean으로 등록되어 있기 때문에 의존주입 받을수 있습니다. 이 뿐 아니라 ApplicationContext가 상속하고 있는 BeanFactory, ResourceLoader 등도 Bean으로 등록되어 있기 때문에 ApplicationContext를 의존주입 받지 않고 필요한 기능을 가진 Bean을 의존주입해서 사용하는 것이 가시성에 좋습니다(ex : Bean과 관련된 처리를 할때는 BeanFactory사용).
setter를 활용하면 Bean을 필수적으로 의존주입 받을지 여부를 선택할수 있습니다. 옵션을 주지 않는 경우 의존주입 받을 Bean이 없는 경우 에러가 발생합니다. 이때 @Autowired(required = false)를 사용해서 만약 Bean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의존주입을 받지 않도록 설정이 가능합니다.
setter 메소드 이름은 상관이 없습니다.
필드에 직접 사용
필드 위에 @Autowired를 등록해서 사용이 가능합니다. 가장 심플하게 코드를 작성할수 있습니다. setter와 마찬가지로 required 옵션을 사용가능합니다.
1 2 3 4 5
@Component classBookStore{ @Autowired private Book book; }
외부 라이브러리를 Bean 등록하고 의존주입
수정이 불가능한 외부라이브러리를 Bean으로 등록하고 해당 Bean에 의존주입까지 해주어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testController.test(); System.out.println("등록 된 Bean" + Arrays.toString(applicationContext.getBeanDefinitionNames())); } }
1
등록 된 Bean[test, testController]
// 클래스 패스로 ApplicationContext 생성 (다른 방법도 존재) ApplicationContext context = new ClassPathXmlApplicationContext(“클래스패스경로”); context.getBeanDefinitionNames(); // 등록된 모든 Bean Name확인 context.getBean(“빈Name”); // Bean 가져오기
단점
XML로 작성하는 경우에는 문자열로 작성을 하기 때문에 자동완성기능 등 IDE의 도움을 받는 것에 제한이 되기 때문에 작성하는데에 어려움이 존재 합니다(지원 되는 것도 존재하지만 그래도 자바소스 작성시보다는 불편하다).
component-scan
지금까지는 수동으로 Bean을 등록을 하였었는데 이 방법으로는 수많은 Bean들을 직접 등록하기가 힘듭니다. 그래서 어노테이션을 통해서 좀더 간편하게 Bean등록하는 방법인 component-scan이 등장하게 되었습니다. package를 설정하여 해당 package내에서 @Component 어느테이션이 등록 된 객체를 Bean에 등록해 줍니다.
@Controller, @Service, @Repository 등 @Component 어노테이션을 상속한 어노테이션 또한 자동으로 등록 됩니다.
@Test publicvoidtest(){ ApplicationContext applicationContext = new ClassPathXmlApplicationContext("spring/spring-bean.xml");
System.out.println("등록 된 Bean" + Arrays.toString(applicationContext.getBeanDefinitionNames())); } }
1
등록 된 Bean[componentScanTest, ...]
클래스 설정파일로 Bean 등록
Spring 3.0 이후 보전부터 자바 소스 코드로도 Bean을 등록 할수 있는 방법이 추가 되었습니다. 자바 소스 코드로 작성하게 되면 IED의 기능을 활용할수 있기 때문에 XML보다 작성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자바소스로 Bean 구성방법은 @Configuration과 @Bean으로 쉽게 구성이 가능합니다. @Configuration은 해당 클래스가 설정파일임을 명시해 줍니다. @Bean은 메소드 정의시에 사용하며 해당 메소드가 반환한 객체를 Bean으로 등록해줍니다. default로 메소드이름이 Bean Name이 됩니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Configuration publicclassBeanConfig{
@Bean public Test test(){ returnnew Test(); }
@Bean public TestController testController(Test test){ TestController testController = new TestController(); testController.setTest(test); return testController; } }
1 2 3 4 5 6 7 8 9 10
public class TestControllerTest {
@Test public void test() { ApplicationContext applicationContext = new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BeanConfig.class); // 클래스설정파일로 Bean등록할때 사용하는 ApplicationContext System.out.println("등록 된 Bean" + Arrays.toString(applicationContext.getBeanDefinitionNames()));
} }
1
등록 된 Bean[..., test, testController]
@Bean을 활용한 DI에는 2가지 방법이 존재 합니다.
파라미터로 Bean 등록 된 객체를 작성하면 자동으로 주입해 줍니다(위의 방법).
@Bean을 사용하는 메소드를 호출합니다(이 방법은 같은 클래스 내부에 존재할때만 가능).
클래스 설정파일로 component-scan
@Bean을 이용하는 방법 또한 직접 작성을 해야하기 때문에 등록하기가 힘듭니다. XML에서 compoennt-scan을 사용하였듯이 클래스 설정파일에서도 마찬가지로 component-scan을 사용할수 있습니다.
@ComponentScan(“base 패키지명”)으로 설정파일에 작성해주면 사용이 가능합니다.
1 2 3 4 5
@Configuration @ComponentScan("kr.co.spring") public class BeanConfig {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Component public class ComponentScanTest {
}
public class TestControllerTest {
@Test public void test() { ApplicationContext applicationContext = new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BeanConfig.class); System.out.println("등록 된 Bean" + Arrays.toString(applicationContext.getBeanDefinitionNames()));
} }
1
등록 된 Bean[..., componentScanTest]
@ComponentScan 옵션
@ComponentScan : 아무런 옵션도 주지 않는 경우로 해당 클래스가 위치한 패키지 내부를 basePackage로 설정합니다.
@ComponentScan(basePackages = “패키지명”) : 위의 예제와 같은 경우로 직접 basePackage를 설정합니다.
@ComponentScan(basePackageClasses = 클래스명.class) : 특정 클래스가 위치한 패키지를 basePackage로 설정할때 사용합니다.
스프링부트에서의 Bean 등록
스프링부트에서 제공하는 SpringBootApplication 어노테이션을 사용하면 위에서 작업했었던 component-scan, ApplicationContext 생성과 같은 소스코드를 작성할 필요가 없습니다. 해당 어노테이션이 자동으로 생성을 해 줍니다.
공부하면서 느낀점
XML로 Bean을 등록 하는 것보다는 IDE의 도움을 받을수 있는 자바소스로 설정하는게 좀더 편하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Bean을 직접 등록해서 사용하는 것보다는 component-scan을 이용하것이 좋을것 같다.
결론
직접 작성 한 클래스는 component-scan을 활용하고, 외부 라이브러리를 사용할시에는 @Bean을 직접 등록 해서 사용하자!
스프링은 Junit을 이용하는 테스트 컨텍스트 프레임워크를 제공한다. 이를 이용하면 어노테이션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컨텍스트를 사용할수 있다. 해당 방법이 없이 Bean을 사용하려면 직접 ApplicationContext를 생성하는 번거로운 작업을 진행하여야 하나 이로 인해 편하게 작업을 진행 할수 있다.
DataSource는 ConnectionPool을 관리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객체로 DataSource를 통해서 Connection을 얻어오고 반납하는 등의 작업을 구현합니다. ConnectionPool에는 여러개의 Connection 객체가 생성되어 운용되는데, 이를 직접 웹 어플리케이션에서 다루기 힘들기 때문에 DataSource라는 개념이 도입되었습니다.
DataSourceUtils
DataSourceUtils 클래스는 JNDI에서 연결을 얻고 필요한 경우 연결을 닫는 메소드를 제공하는 기능을 제공 합니다. 그리고 DataSourceTransactionManager로 쓰레드에 기반한 연결을 지원합니다.
DataSourceUtils에서 제공하는 메소드
getConnection(DataSource dataSource)
getConnection메소드는 제공 된 DataSource를 기반으로 하여 Connection을 생성해줍니다. Connection 생성은 트랜잭션 동기화 여부에 따라 다르게 작동합니다. 만약 트랜잭션 동기화가 활성화 되어 있다면 Connection을 생성하고 트랜잭션 저장소에 바인딩 합니다. 이후 트랜잭션 동기화 작업을 종료 할때까지 getConnection메소드를 호출하면 동일한 Connection을 반환하는 것을 확인할수 있습니다.
releaseConnection메소드 또한 getConnection와 비슷하게 동작 합니다. 만약 트랜잭션 동기화가 활성화 되어 있다면 트랜잭션 저장소에서 Connection을 초기화 합니다. 이때 Connection의 연결은 종료하지 않습니다. 그리고 release 후 다시 getConnection으로 Connection을 받아왔을때 동일한 값이라는 것을 확인 할수 있습니다.